오리지널황금성3게임 ↕ 바다이야기슬롯 ↕㎫ 54.ryp383.top ⊂누구나 부담 없이 한 끼를 먹고 힘낼 수 있는 김치찌갯집 ‘청년밥상문간’에는 ‘슬로우’ 지점이 있다. 이곳에서 느린 학습자(경계선 지능인) 청년들이 함께 일한다. 지적이나 다그침 없는 환경에서 청년들은 자신감을 되찾고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고 있다. 청년밥상문간은 순차적으로 모든 지점을 슬로우점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한수빈 기자
한 손님의 김치찌개가 부글부글 끓고 있다. 1인분에 3000원이다. 500~1000원을 더 내면 달걀·햄·어묵 등의 사리 추가가 가능하다.
세상에는 조금 느려서 더 특별한 것도 있다. 그중 하나가 서울
신한카드급여압류 종로구 혜화에 가면 먹을 수 있는 3000원짜리 김치찌개 식당 ‘청년밥상문간’이다. 저렴한 가격 탓일까? 중간에 있는 휴식 시간을 제외하고, 오전 11시부터 마지막 주문을 받는 오후 8시 반까지 32평 남짓 크기의 가게는 손님들로 붐빈다. 문을 열면 새콤한 김치 냄새가 코를 자극하고, 보글보글 끓는 찌개 소리가 뒤따른다. 손님이 너무 많아 ‘느린’ 김치찌
외환은행 주택담보대출금리 개 식당이 된 것은 아니다. 청년밥상문간 ‘슬로우점’에 들어가면 한쪽 벽면에 설립 취지문이 붙어 있다. ‘느린 학습자 청년들이 꿈과 가능성을 키우는 곳··· 조금 느리지만 더 따뜻하고 편안하며 든든한 일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혜화 슬로우점에서 일하는 느린 학습
원천징수영수증 자 청년들이 식탁을 닦고 있다.
낙성대 슬로우점에서 일하는 김민성씨가 밥을 짓고 있다.
혜화 슬로우점에서 일
커피전문점창업카페노리터 하는 임예찬씨가 식당 영업 준비를 하며 명찰을 달고 있다.
개점 1년이 넘은 지금, 열 명의 느린 학습자들이 요일과 시간대를 나눠 일하고 있다. 보통 세 명의 직원이 점장과 함께 하루 평균 100~120명의 손님을 맞는다. ‘딸랑’ 식당 문이 열릴 때마다 큰 소리로 “어서 오세요. 몇 분이세요?”하
직장인 신용대출 서류 며 직원들이 인사를 건넨다. 첫 방문인 듯 두리번거리는 손님이 있으면 곁으로 다가가 “제가 도와~드릴까요?”하고 묻는다. 한 직원이 인덕션을 들면 다른 직원은 식탁을 닦는다. 손발을 맞추는 모습이 자연스럽다. 느린 학습자라고 모든 일에 느린 것은 아니다. 배운 일은 막힘 없이 해낸다. 어느새 새롭게 문을 여는 청년밥상문간 낙성대 슬로우점에서 일할 후배 실습생에게 비법을 전수할 만큼 성장했다.
혜화점 주방에서 직원들이 김치찌개를 만들고 있다. 찌개는 주로 점장님이 담당해서 만들지만 직원들이 주방에 적힌 안내문을 따라 조리할 때도 있다.
낙성대점 주방에 직원들이 김치찌개 재료를 준비하고 있다.
경계선 지능인(느린 학습자)들이 청년밥상문간 슬로우점에서 일을 하고 있다. 손님들이 나간 자리를 부지런히 행주로 닦고, 침착하게 두부를 썰고, 조심스럽게 찌개를 배식대에 올려놓으며 경계지능인 직원들은 맡은 자리에서 한 사람 몫의 일을 한다. 경계선지능인은 지능지수(IQ)가 70~84 사이로, 장애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일상에서 인지·적응 행동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관련 실태 조사는 부족하다. 2024년 기준 인구의 13.59%인 약 699만 명으로 추산되는 것에 비해 인식은 여전히 낮다. 많은 이들이 자신이 경계성지능인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모른 채 ‘나는 왜 이렇게 느릴까? 못 할까?’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혜화 슬로우점에서 일하는 조재범씨가 ‘NEVER STOP’ 글씨가 적힌 티셔츠를 입고 있다.
혜화점에서 한 손님이 김치찌개를 먹고 있다.
가톨릭 글라렛선교수도회 소속 이문수 신부가 청년밥상문간을 처음 연 것은 2017년 12월이다. 지난 2015년 고시원에 한 청년이 생활고로 인한 굶주림과 지병 끝에 사망한 사건을 듣고 ‘배고픈 청년들이 부담 없이 올 수 있는 밥집’을 떠올렸다. 서울 성북구 정릉에서 시작된 김치찌개 집은 현재 다섯 곳으로 늘었다. 가게를 운영하면서 많은 청년을 만났다. 청년밥상문간 덕분에 대학 생활을 버틸 수 있었다며 고마움을 전하는 청년도 기억에 남는다. 청년밥상문간의 김치찌개는 청년뿐만 아니라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맛집’이어야 한다. 사정이 있는 이들도 편하게 드나들기 위해서다. 나이와 배경을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열려 있는 이유다.
3개월간 실습을 마친 한 실습생의 다짐 글이 걸려 있다.
손님들이 적은 응원 글이 붙어 있다.
슬로우점 설립 취지 안내문이 벽에 붙어 있다.
경계선지능인을 자녀로 둔 두 부모님이 신부님을 찾아오면서 청년밥상문간은 분기점을 맞았다. “많은 걸 바라는 게 아니다 우리 아이들이 사회에 봉사할 기회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말이 자꾸 신부님의 마음에 맴돌았다. 논의 끝에 혜화점을 경계선지능인이 일하는 슬로우점으로 열었다. 지적과 다그침이 없는 곳에서 청년들은 배운 일을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성실하게 해낸다. 표정은 밝아지고 자신감을 되찾았다. 7월부터 낙성대점도 슬로우점으로 전환됐다. 남은 매장들도 순차적으로 바뀔 예정이다. 조금 느려도 괜찮다. 조금씩 바뀌고 있는 사회 속에 경계성지능인도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때까지 청년밥상문간은 ‘밥 먹고 힘낼 수 있는 곳’으로 누구에게나 활짝 문을 열고 있을 것이다.
혜화 슬로우점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이문수 신부(이사장)가 낙성대 슬로우점 개점식에서 축하하고 있다.
청년밥상문간 낙성대 슬로우잠 개점식을 마친 후 직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낙성대점 슬로우점 전환은 청년밥상문간사회적협동조합,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가 함께 진행했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