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내염 걸린 뱀이나 도마뱀에게 물리는 것은 특수동물 수의사의 숙명이고, 톱을 들고 땅거북의 발톱을 자르는 게 저희 일이죠(웃음)."
10년 가까이 특수동물의 매력에 빠져 산다는 권재연 수의사. 최영민동물의료센터 부원장인 그는 특수동물 수의사가 하는 일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권재연 부원장은 최근 뉴스1과 인터뷰에서 개(강아지), 고양이 못지않게 가정에서 사랑받는 특수동물들을 소개했다. KODEX태양광 주식 "구내염에 턱뼈 녹은 도마뱀…앵무새 관절염 치료" 권 부원장은 비단털쥣과의 작은 햄스터부터 많은 사람들이 무섭다고 느끼는 파충류, 양서류, 동물원의 코끼리와 오랑우탄 같은 대형 동물까지 모두 다루는 만능 수의사다.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수의외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반려견, 반려묘를 진료했다. 그러다 SBS 'T알라딘릴게임오락실 V동물농장' 수의사로 잘 알려진 최영민 원장과 함께 일을 하게 되면서 특수동물을 맡게 됐다. 최근까지 유튜브 채널 애니멀봐에서 쪼꼬미동물농장을 통해 다양한 특수동물 진료과정을 공개하며 보호자들에게 친근함을 더하고 있다. 권재연 부원장은 "현대인들은 바쁘고 집에 있는 시간이 적다"며 "사정상 반려동물을 키우지 못하는 사람들이 특수동물을 많이5일선매매 키운다. 특수동물을 보다보면 반려동물과 같은 매력을 느낀다"고 밝혔다. 특수동물은 매력적이지만 진료 과정은 녹록하지 않다. 도마뱀 진료도 쉽지 않다. 권 부원장은 "개, 고양이의 경우 사람들과 유대감이 어느 정도 큰 데 비해 특수동물은 야생동물에 가까워서 다루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도마뱀만 해도 엑스레이를 찍고 일진다이아 주식 혈액검사를 할 때 긴장을 많이 한다"고 말했다. 크레스티드 게코 도마뱀(도마뱀붙이)은 크기가 굉장히 작다. 자칫 잘못 만졌다가는 스트레스를 받아서 꼬리를 자를 수도 있기 때문에 완벽한 보정을 기대할 수 없다고. 권 부원장이 치료한 동물 중에 기억에 남은 동물 중 하나는 구내염으로 내원한 게코 도마뱀이다. 크레스티드 게포션 코는 혀로 눈알을 핥아 수분을 공급하고 청결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구내염에 걸리면 건강에 위협을 받는다. 그는 "게코 도마뱀이 밥을 못 먹다 보니 영양이 부족해져 전신 쇠약 상태가 되고 면역력이 떨어져 질병에 감염돼 내원한 적이 있다"며 "구내염을 심하면 턱뼈도 녹일 수 있는 질병이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게코 도마뱀에게 약물치료와 함께 투여한 것은 동물용 의료기기인 애니씰C 덴탈콜라겐. 타입1 아텔로콜라겐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진 애니씰C는 구강·치주조직의 손상된 부위를 보충하면서 회복에 도움을 줬다. 권 부원장은 "구내염에 걸려 입안 출혈이 심한 게코 도마뱀에게 덴탈콜라겐을 적용했더니 육안으로 좋아지는 것이 확인됐다"며 "보호자들도 만족해해서 뿌듯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게코 도마뱀의 에그 바인딩(알막힘증) 교정 수술도 많이 한다. 제때 알을 낳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배 안에서 알이 썩는 경우도 있어서다. 사람처럼 분만 유도제 주사를 놓고 안 되면 개복을 시도하기도 한다고. 관절염에 걸린 앵무새도 치료했다. 얇은 다리에 레이저 치료를 하면서 관절염 주사를 놓아 상태가 호전된 사례도 있다. 특수동물들은 장거리에서도 많이 내원한다. 멀리서 동물들과 함께 병원을 찾는 보호자들을 보면 권 부원장은 진료에 더욱 심혈을 기울인다. 권 부원장은 "최근엔 대전에 사는 달팽이의 껍데기가 깨져서 패각 교정을 한 적도 있다"며 "패각조각들을 모아 붙이는 일은 퍼즐 맞추기보다 어렵다"고 설명했다.
구내염에 걸린 게코 도마뱀에게 덴탈콜라겐 주사를 놓고 있는 의료진(더셈펫바이오 제공) ⓒ 뉴스1
거북이 진료를 하고 있는 권재연 수의사(최영민동물의료센터 제공) ⓒ 뉴스1
"거북류도 골절 교정…재활 필요성 느껴 CVA 이수" 권재연 부원장은 거북류 진료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도 들려줬다 . 거북류의 경우 엑스레이를 찍거나 혈액검사를 시도할 때 몸을 숨긴다. 머리가 나올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터득한 노하우는 뒷다리를 쳐서 앞다리가 나오게 하는 방법으로 진료를 하는 것이다. 권 부원장은 육지거북 중에서도 큰 종에 속한다는 알다브라 거북의 발톱을 자르기 위해 톱을 들기도 했다. 톱으로 두꺼운 발톱을 자르고 나면 톱날이 무뎌져서 버리는 것도 일이다. 그는 "거북이가 뼈가 없는 줄 아는 사람들도 있다"며 "거북이는 복갑개방술(복갑골절술)로 난산을 교정하기도 하고 골절 교정도 한다"고 말했다. 얼마 전에는 동물원에 가서 오랑우탄 건강검진을 했다. 마취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 엑스레이를 찍기 위해 성인 남성이 3명이나 붙었다. 권 부원장은 "오랑우탄이 관절염이 심해서 앞발이 펴지지 않았다"며 "오랑우탄은 화가 나면 정말 무섭다. 다행히 화를 내지 않았지만 자칫 큰일날 수도 있었던 상황"이라고 회상했다. 특수동물을 다루는 의료진이지만 낯선 동물과 교감할 때마다 긴장감이 맴돈다. 권 부원장은 "특수동물을 진료하는 수의사도 힘들지만 옆에서 보정해주는 동물보건사도 뱀, 라쿤 등에게 물려 고생하기도 한다. 환자를 핸들링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최근 관심사 중 하나는 재활이다. 수술 후 재활 필요성도 많이 느끼고 있어서 치 유니버시티의 CVA(침치료인증수의사) 과정도 이수했다. 그는 "질환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수술 후 처치가 무엇보다 중요해서 CVA도 들었다"며 "재활이 원래는 외과의 한 분과 영역이었는데 점점 카테고리의 하나로 인정을 받고 있어서 특수동물들에게도 적용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권 부원장은 특수동물도 반려동물만큼이나 '소중한 존재이자 생명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보호자들이 이 작은 동물들한테 정성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면 정말 진료에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며 "특수동물을 하다보니 게코 도마뱀의 긴 속눈썹을 보면 아름다워보인다"고 환한 웃음을 지었다. 이어 "특수동물을 키우는 보호자들은 공부를 많이 한다. 나 또한 그런 모습을 보면서 많이 배운다"며 "만약 특수동물을 새로운 가족으로 맞이하려는 계획이 있다면 열정적으로 공부하고 정보를 수집해서 잘 키워주길 바란다"고 조언했다.[해피펫]